1. EC2 정보 파악하기
EC2, 보안 그룹, 서브넷 그룹, RDS를 모두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연동할 EC2의 정보를 파악해야한다.
그럼 내가 연동할 EC2의 정보를 파악하러 가보자!🕺
VPC ID, 서브넷 ID, 그 밑에 보안 탭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안 그룹까지 살펴보자
2. RDS 보안 그룹 생성하기
EC2 메인 화면에서 좌측의 카테고리를 보면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 그룹'으로 들어가 '보안 그룹 생성' 버튼을 클릭!
보안 그룹 이름을 지정해주고, EC2에서 사용하는 VPC 정보를 설정하자!
그리고 인바운드 규칙에서 본인이 사용하는 DB를 선택해서 보안그룹도 설정해주자
RDS 보안그룹을 만들 때 선택하는 소스는 EC2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안그룹과 동일해야한다!
보안 그룹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RDS 수정을 해주자!
해당 RDS의 상세화면으로 진입해 우측 상단의 수정 버튼 클릭
연결 탭에서 아까 만든 보안 그룹을 선택해준다.
3. EC2 접속 및 RDS 확인하기
여기서 이제 터미널로 내가 만든 EC2에 접속한 뒤 DB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자
내가 만든 인스턴스 상세화면으로 진입한 뒤 우측 상단의 연결 버튼을 클릭하자
터미널로 키페어가 있는 경로로 이동한 뒤 아래 ssh로 시작하는 명령어를 복사하여 실행시키면 EC2에 접속이 가능하다.
명령어를 실행시키니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온다.
이 상태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내가 생성한 RDS에 접근할 수 있다.
(계정과 엔드포인트 입력할 때 [] 이거 빼고 입력해야한다 혹시나해서..)
mysql -u [계정] -p -h [엔드포인트]
아 엔드포인트는 내가 만든 RDS의 상세화면의 진입하면 중간쯤에 엔드포인트 및 포트라고 해서 엔드포인트를 알 수 있다.
여기까지 EC2와 RDS 연결을 시키기!
끝!
'TIL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AWS] AWS EC2 설정하기(+탄력적 IP) (0) | 2024.07.18 |
---|---|
[TIL/AWS] AWS의 EC2, RDS, S3 개념 (0) | 2023.05.27 |
[TIL] AWS 배포하기 (0) | 2022.08.02 |
[TIL] AWS RDS_데이터베이스 생성 + MySQL 설치 및 세팅 + Oracle Developer와 연동시키기 (0) | 2022.08.01 |
[TIL] AWS EC2(인스턴스 생성 + 운영체제/크롬/JDK/톰캣 설치 및 환결설정하기 + 내 pc에서 가상 서버 접속해보기)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