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GET과 POST / redirect와 forward / JSP와 Servlet
·
TIL/View Template
JSP 수업 4일차인데 수업이 빨라서 개념이 자꾸 헷갈리고 정확하게 잡히지 않아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헷갈리지 않게 따로 정리하고자 포스팅을 한다. 1. GET 방식과 POST 방식 1) GET 방식 - GET 방식으로 전송하면 URL에 파라미터 값이 날아간다. - ? 뒤에 날아가는 것을 쿼리 스트링이라고 함 https://yelin1217.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2F 2) POST 방식 - POST 방식으로 전송하면 데이터의 영역으로 날가아며, URL에 보여지지 않는다. 3)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점 - GET 방식은 전송할 수 있는 파라미터 값의 길이 제한이 있지만, POST 방식은 데이터 영..
[SIST] JSP_days03_response 객체 / 리다이렉트(redirect) / 포워드(forward) / GET 방식 + 서블릿 + JDBC + 포워딩 예제(JSTL 맛보기)
·
TIL/View Template
1. JSP 기본 객체 중에 자주 사용하는 객체 - response 객체 1-1. respnse 기능 1) 응답 헤더 정보 입력 2) 리다이렉트(redirect) 하기 (사전적의미 : 다른 방향으로 다시 보내다, 전송하다) * 이외에 기능이 있지만, JSP 페이지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1-2. 리다이렉트(redirect) 기능 설명 - 리다이렉트는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라고 응답하는 기능 - 새로운 페이지에서는 request와 response 객체가 새롭게 생성된다. 따라서 파라미터 값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구현해 주어야 한다. - ex) 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후 메인 페이지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사이트처럼 특정 페이지를 실행한 후 지정한 페이지로 이동하길 원할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