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CS] 도메인과 아키텍처
·
TIL/CS
1. 도메인이란?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한다면 가장 신경 써줘야할 곳, 우리가 문제에 대해 맞닥들이는 곳, 문제에 대해 풀어나가며 해결해 나아가야 하는 곳이다. 쉽게 말해 쇼핑몰 시스템의 목적은 물건을 쉽고 빠르게 구매하려는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처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분야를 도메인이라고 부른다(feat. 오브젝트) 1) 도메인은 아래와 같이 나눈다(feat. 반 버논) - 메인 도메인 : 비즈니스의 전체 도메인 - 서브 도메인 : 메인 도메인에서 나누어지는 도메인 ㄴ 핵심 도메인 : 서브 도메인 중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가 될 도메인 ㄴ지원 서브 도메인 : 서브 도메인 중에 필수적이지만 핵심 도메인이 아닌 도메인. 즉, 비즈니스 적으로 연관이 되어야 하는 도메..
[TIL/CS] OSI 7 계층
·
TIL/CS
네트워크를 배우면 가장 처음으로 중요하게 배우는 OSI 7 계층 모델이다. 오늘은 OSI 7 계층 모델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OSI 7 계층 개념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왜? 계층을 나누었을까?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 현실세계에 비유해서 말하면 자동차가 있는데 타이어가 구멍이 났다! 그러면 우리는 자동차 전체를 수리하는가? 아니다. 자동차 전체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타이어만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OSI 7 계층도 위와 같이 특정 ..
[TIL/CS] 웹 서버(Web Server)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
TIL/CS
오늘은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자세히 알지 못하는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차이를 알기전에 정적페이지(정적인 컨텐츠)와 동적페이지(동적인 컨텐츠)에 대해서 먼저 정리하고 가자 1. 정적인 페이지와 동적인 페이지 1) 정적 페이지(Static pages) - image, html, css, javascript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의미 - 웹 서버에서 요청에 알맞은 파일을 반환하며,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 말 그대로 정적인 컨텐츠 - 웹 서버에서 제공 2) 동적 페이지(Dynamic pages) - 들어온 요청에 맞게 동적으로 만들어진 컨텐츠를 의미 -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 로직 등을 활용해 만들어진 컨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