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 Bean Validation
·
TIL/Spring
오늘은 Bean Validation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Bean Validation 이란?이전에 정리했던 BindingResult 내용을 살펴보면 검증 부분에 대해서 직접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매번 코드를 작성하는 것도 번거롭고 특정 필드에 대한 검증 로직은 대부분 비슷한 부분에 대해서 검증을 진행한다(ex. 빈 값, 특정 값..) [Spring] Spring Validation-BindingResult(with.thymeleaf)Bean Validation을 사용하기 전에 BindingResult로 검증 로직을 작성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한다. 데이터를 검증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 메시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사용자가yelin1217.tistory.com이러한 검증 로직을 ..
[TIL/JPA] 기본개념 : JPQL에서 엔티티 직접 사용하기
·
TIL/JPA
기본 키 값JPQL에서 엔티티를 직접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SQL에서는 해당 엔티티의 기본 키 값을 사용한다. JPQL을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하면select count(m.id) from Member m // 엔티티의 아이디를 사용select count(m) from Member m // 엔티티를 직접 사용 SQL은 아래와 같이 나온다. (위의 JPQL 둘 다 같은 SQL을 실행한다)select count(m.id) as cnt from Member m 파라미터로 넘겨도 동일하고,String jpql = "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 = :member"List resultList = em.createQuery(jpql) .setParameter("memb..
[TIL/JPA] 기본개념 : 경로 표현식
·
TIL/JPA
경로 표현식은 . 을 찍어서 객체 그래프를 탐색하는 것이다.select m.username -> 상태 필드(로 객체 그래프를 탐색했다)from Member m join m.team t -> 단일 값 연관 필드 join m.orders o -> 컬렉션 값 연관 필드where t.name = '팀A' 위의 쿼리문으로 개념을 확인할 때 Member, Team, Orders 엔티티의 연관관계는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생각하자@Entity@Table(name = "MEMBERS")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 age; @ManyTo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