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리스트와 문자열 정리
·
TIL/Python
- 인덱싱(Indexing) 1) 알파벳 리스트의 인덱싱 alphabets_list = ['A', 'B', 'C', 'D', 'E', 'F', 'G', 'H', 'I', 'J'] print(alphabets_list[0]) print(alphabets_list[1]) print(alphabets_list[4]) print(alphabets_list[-1]) #결과 A B E J 2) 알파벳 문자열의 인덱싱 alphabets_string = 'ABCDEFGHIJ' print(alphabets_string[0]) print(alphabets_string[1]) print(alphabets_string[4]) print(alphabets_string[-1]) #결과 A B E J - for 반복문 위에서 본 ..
[파이썬] 리스트(list) 함수
·
TIL/Python
len : 리스트 안에 값이 몇 개가 있는지 알려준다. numbers = [] print(len(numbers)) #결과 0 append : 리스트 안에 값을 추가 하는 함수 numbers.append(5) print(numbers) #결과 [5] numbers.append(8) print(numbers) #결과 [5, 8] #새로운 값을 오른쪽 끝에 추가하게 된다 ---------------- del : 리스트 안에 있는 요소를 삭제하는 함수 numbers = [2, 3, 5, 7, 11, 13, 17, 19] del numbers[3] #numbers 리스트에 3번 인덱스를 삭제 print(numbers) #결과 [2, 3, 5, 11, 13, 17, 19] 원하는 위치에 요소 삽입하기 numbers..
[파이썬] 리스트(list) + 리스트 인덱싱(list indexing), 리스트 슬라이싱(list slicing)
·
TIL/Python
- 리스트(list) 하나의 변수에 여러가지 값을 넣을 수 있는 것을 리스트(list)라고 한다. ex) numbers = [1, 2, 3, 4, 5, 6 ,7] names = ['재석', '효리', '호동', '세호'] 위와 같은 numbers와 names는 리스트라고 말하며 1은 numbers 리스트의 요소, 재석은 names 리스트의 요소라고 한다. - 인덱싱(indexing) 리스트 안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씩 끄집어 내는 것을 인덱싱(indexing)이라고 한다. ex) print(names[1]) #결과 효리 * 파이썬에서 첫 인덱스 숫자는 1이 아닌 0이다. 즉, numbers의 인덱스는 0부터 6까지 있으며 names는 0부터 3까지 있다. numbers = [1, 2, 3, 4, 5,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