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omebrew 설치하기
먼저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Install Homebrew 아래에 있는 명령어를 복사하여 터미널에 실행시킨다.
필자의 경우 M1이므로, 바로 설치가 되지 않고 PATH 등록 문제가 있어 아래와 같이 Warning이 표시되었다.
구글링 해보니 아래 명령어 실행시켜주면 설치가 된다고 하여 바로 입력 시전!
echo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 ~/.zshrc
명령어를 실행시킨 후 PATH가 잘 들어갔는지 아래 명령어로 확인
vi ./.zshrc
homebrew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해보자!
brew --version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설치된 Homebrew의 버전이 나온다면 설치 완료!
2. MySQL 설치하기
homebrew를 설치했다면 이제 brew를 가지고 MySQL을 설치해보자!
가장 쉬운 방법은 사실.. MySQL 홈페이지에 가서 자기 OS에 맞는 걸로 설치하는게 제일 쉽다!
하지만 난 새로운 도전을 하기 위해 brew로 설치를 진행해 보았다.
기존에 homebrew를 설치했던 사용자라면 터미널에 먼저 brew update 명령어를 실행시켜 업데이트를 해주자!
이제 설치를 해보자!
1) brew install mysql 명령어를 실행시켜 MySQL을 설치해준다.
2) 설치가 완료되면 mysql --version 명령어를 통해서 버전을 확인해 준다. 이 때 버전이 나온다면 잘 설치가 된 것이다.
3)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mysql.server start를 통해서 MySQL를 실행시켜주자!
4) 초기 환경설정 작업을 위해 mysql_secure_installation 명령어를 실행!
그러면 이제 아래와 같이 6가지에 대해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1. VALIDATE PASSWORD COMPONENT ( 복잡한 비밀번호 여부 ) : n
2. set the password (비밀번호 설정 & 확인)
3. Remove anonymous users? (익명 사용자 삭제) : y (n일경우는 mysql 만으로 접속 가능)
4.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원격 접속 허용하지 않을 것인지) : y(localhost 외 다른 IP에서의 접속 허용 X)
5.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test DB 삭제 여부) : n
6) Reload privilege tables now? (변경된 권한을 반영하여 테이블 다시 로드) : y
6가지를 다 설정 후 All done! 이라고 뜨면 설정이 완료된다.
5) 설치와 설정이 잘되었으면 MySQL 접속을 해보자. mysql -u root -p 명령어를 통해서 접속하게 되는데 이 때 2번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있는 Database를 확인하고 싶으면 show databases; 쿼리문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 MySQL에서 빠져나오는 방법과 종료하는 방법! **
mysql에 들어가있다면 exit를 입력 후 Enter를 치면 Bye가 뜨게된다. 이러면 MySQL을 빠져나온 것이다.
그 다음에 mysql.server stop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MySQL이 성공적으로 종료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