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에서 브랜치를 만들어 원격에 push하기
VS code에서 git branch 명령어로 브랜치를 생성 후 switch 한 다음 git push를 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뜬다.

이 메시지는 즉, 내가 생성한 브랜치를 원격 어떤 장소에 저장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뜻으로
만약 origin에 추가할 것이라면 보여지는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된다.
아니면 git push -u origin from-local 명령어를 사용해도 된다.
(upstream을 축약하여 u라고만 사용)
위의 명령어를 실행시킨 뒤 깃허브에서 확인을 해보면 브랜치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깃허브에서 from-local 브랜치에 하나의 파일을 수정하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로컬에서 브랜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git branch 명령어를 사용하는 해당 명령어만 사용하면 로컬에 있는 브랜치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저장소의 브랜치도 확인하고 싶다면 git branch --all 또는 git branch -a 명령어로 확인하면 된다.

- 원격의 브랜치를 로컬로 받아오기
깃허브에서 from-remote 라는 브랜치를 main으로 부터 생성
* 생성할 곳을 명확하게 선택후 브랜치를 생성해야한다.
Create branch: 브랜치명 from '브랜치명' => from 브랜치명이 원하는 브랜치인지 확인할 것

그 후에 로컬에서 git fetch 명령어를 사용한 뒤 git branch -a 명령어로 확인을 해보면 브랜치를 가져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로컬에 같은 이름의 브랜치를 생성하여 연결해야 하니 아래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git switch -t origin/브랜치명
git switch -t origin/from-remote

소스트리에서 확인을 해보면 브랜치가 잘 반영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브랜치의 변경된 사항을 로컬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git switch from-local 명령어를 실행시킨 뒤 git pull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변경사항이 로컬에도 잘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aguars 파일의 매니저를 stanley -> Cheolsu)


브랜치 내용이 반영이 되었다면 로컬에 있는 브랜치를 삭제하기
main으로 이동한 뒤 삭제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도 삭제하기
git push 원격저장소--delete 브랜치명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하나의 리포지토리에 여러 프로젝트 올리기 (+ github permission denied 해결하기) (0) | 2024.09.21 |
---|---|
[Git] 기존 Project에 버전 관리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 명령어로 삭제 (0) | 2022.07.18 |
[GitHub] GitHub_#1 (0) | 2022.06.07 |
[Git] Git_#3 (0) | 2022.06.07 |
[Git] Git_#2 (0) | 2022.06.07 |